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8

건축물, 신축, 증축, 개축, 재축, 이전 건축물 오늘부터는 건축법에 대해 글을 올리려고 합니다. 첫 번째 시간으로 건축법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건축물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흔히 땅 혹은 토지에 건물로 보이는 것들을 모두 건축물로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건축물은 건축법에 의거해서 분류가 됩니다. 그 종류로는 토지에 지어지는 공작물 중 지붕과 기둥의 조합, 지붕과 벽의 조합이 있습니다. 그리고 건축물에 부수되는 대문과 담장, 지하시설 또는 지상에 설치하는 사무소, 공연장, 점포, 차고, 그리고 창고가 건축물에 포함됩니다. 두 번째로 건축법에 일부 규정을 적용받는 공작물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우선, 건축법에 규정을 받는 공작물은 축조할 때 신고 대상입니다. 그 예시로는 높이 2m 초과하는 옹벽과 담장이 있습니다. 그리고 광고탑, 광고판, 장.. 2023. 2. 20.
미청구공사, 초과청구공사 건설회사 회계처리의 배경 안녕하세요, 오늘은 건설회사의 회계처리에 대해 말씀드려 보겠습니다. 건설회사 회계하면 가장 많이 들을 수 있는 단어가 바로 "미청구공사"와 "초과청구공사"입니다. 먼저 배경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건설회사가 입찰 등을 통해 도급계약을 발주회사랑 체결하는 경우 대게는 공사기간이 1년을 초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나의 용역을 제공하기까지 총기간이 1년 넘게 걸리다 보니, 자연스럽게 대금을 일시에 받는 것이 아닌 분할로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역마다 또는 토지의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보통 아파트 500세대 기준으로 공사기간은 최소 25개월에서 많게는 30개월도 넘게 걸리는 현장이 많습니다. 이럴 경우 보통 발주회사는 건설회사에게 두 달에 한번 공사 진행 현황에 맞게 대금을 .. 2023. 2. 7.
화폐의 시간가치, 현재가치, 미래가치, 연금 화폐의 시간가치란? 오늘은 금융에서 정말 중요한 개념인 "화폐의 시간가치(time value of money)"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만약 우리가 지금 은행에 돈을 맡기게 되면 일정 시간이 지나고 난 뒤 은행은 우리에게 원금과 이자를 지급합니다. 이자에 바로 화폐의 시간가치 개념이 들어있습니다. 현재의 현금을 포기하면 미래에 더 큰돈을 얻을 수 있게 됩니다. 이처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돈의 가치가 커지는 현상을 "화폐의 시간가치"라고 합니다. 만일 누군가 우리에게 지금 당장 1억 원을 받을 것인지, 아니면 5년 뒤 1억 5천만 원을 받을 것인지 물어본다면 어떤 선택을 하시겠습니까? 저는 고민도 없이 지금 당장 1억 원을 받겠다고 말하겠습니다. 하지만, 누구는 5년 뒤 1억 5천만 원을 받는다고 할 수.. 2023. 2. 7.
물류부동산, 물류센터 변화 오늘은 작년까지 굉장히 인기가 많았던 물류부동산, 그중에서도 물류센터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코로나 여파로 쿠팡과 마켓컬리 등 회사의 당일배송 수요가 높아지면서 많은 기업들이 당일배송 혹은 새벽배송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물류센터의 수요가 높아졌습니다. 우선 물류센터의 과거부터 현재까지 변화를 말씀드릴게요. 물류센터 변천사 1세대 : Storage Center (저장고) 초기의 물류센터는 생산된 곡식이나 농기구 등을 보관하던 방식으로 단일 건물인 단층 형태로 이루어져 있었습니다. 이후 산업이 발달하면서 수많은 재화의 생산으로 물류의 기능이 발전하고 그 역할이 중요해지면서 물류센터 역시 발전을 이루고 있습니다. 2세대: Transfer Center (운송중심 센터) 1세대인 저장고 형.. 2023. 2.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