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8

주거건축, 연립주택(테라스 하우스)와 공동주택, 아파트(판상형, 탑상형, 타워형) 테라스 하우스(Terrace House) "테라스 하우스"는 각 세대에 "테라스"가 있는 집으로 건물 자체가 경사지에 위치하여 모든 세대가 개별 소유의 테라스를 보유한다. 한국에서 흔한 주거형태인 공동주택의 경우 건물이 위로 높게 지어지기 때문에, 1층을 제외한 세대는 이런 테라스를 보유하기 어렵다. 테라스 하우스는 크게 상향식 테라스와 하향식 테라스로 나뉜다. 상향식 테라스는 밑에 층에 주 생활공간인 거실과 주방이 위치하며, 위에 층에는 수면과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이 위치한다. 반대로 하향식 테라스는 밑에 층에 침실 등이 위치하며, 위층에 거실과 주방이 있는 구조다. 주로 경사지에 만들어지기 때문에 자연지형에 순응하여 공사하며, 전면부는 단층인데 후면부는 중층이 나오는 형태다. 바닥 높이가 세대별.. 2023. 2. 27.
지구단위계획, 도시 및 군관리계획, 도시 및 군기본계획 지구단위계획 오늘은 지구단위계획 및 도시 및 군 관리계획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부동산 개발사업을 하시는 분이시라면 아마도 '지구단위계획'이라는 단어를 정말 많이 들어보셨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지구단위계획을 하는 목적은 우선 토지의 이용을 보다 합리적으로 하고, 해당 토지의 기능을 주변환경에 맞춰 개선하며, 미관상 더 아름답고, 환경에도 유익한 방향으로 바꾸기 위함입니다. 계획의 지정은 국토교통부장관 혹은 각 도의 도지사, 시장, 군수 등이 지정합니다. 지구단위계획으로 토지이용을 변경하는 경우, 가장 흔한 사례는 바로 택지개발지구, 녹지지역에서 주거 및 상업지역으로 변경하려는 지역, 또는 개발행위허가 제한구역에서 발생합니다. 계획의 내용으로는 해당 토지의 용도지역 또는 용도지구를 세분화하거나 다른 지역.. 2023. 2. 24.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용도, 지역, 지구)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은 특정 지역에 어떤 종류의 건축물을 지을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법규입니다. 해당 지역이 지구지역인지, 상업지역인지, 또는 공업지역인지에 따라 건축할 수 있는 시설이 달라지게 됩니다. 물론 지구단위계획을 통해 변경을 하거나 도시개발사업으로 지역을 바꿔 다양한 건물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모든 토지를 국가가 계획하고 정해놨기 때문에, 우선 정해놓은 것을 따라야 합니다. 국토의 용도 구분 주거지역: 주거지역은 전용과 일반 주거지역으로 나뉩니다. 전용지역은 또 1종, 2종으로 구분되며, 1종전용주거지역의 경우 단독주택이 주를 이룹니다. 반면 2종 전용주거지역은 공동주택이 중심이 되어 해당 지역을 나타냅니다. 일반주거지역.. 2023. 2. 23.
높이 제한, 높이 규제, 일조권 높이제한 건축물의 높이 제한 건물을 지을 때 해당 건물의 허가 내용에 따라지을 수 있는 건물의 높이가 달라지게 됩니다. 우선 "높이"라고 하면 지표면에서 건물의 상단까지의 길이를 말합니다. 높이 제한이 있을 경우, 기준은 전면도로의 중심선이 되며, 1층 전체가 필로티일 경우에는 높이제한 규제 및 일조높이 산정에서 제외됩니다. 지표면의 산정 만약 규제가 적용되면, 시작이 지표면이기 때문에 지표면 산정이 선행되어야 전체 높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만일 지표면의 높낮이가 다르다면, 건축물이 닫는 부위를 가중평균하여 정합니다. 또한, 일조권의 규제가 있을 시, 인접대지 사이 높이가 다르다면 지표면의 평균수평면이 기준이 되며, 주거지역 외 지역에서 공동주택과 다른 용도의 복합시설을 건축하는 경우 공동주택 부분의 가장 낮은.. 2023. 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