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8

증자, 유상증자, 무상증자 기업이 경영을 하다가 추가 자금이 부족할 때는 돈을 빌리거나, 자본금을 늘려야 합니다. 대출기관 등에서 돈을 차입하게 된다면 회계장부상 부채에 기록되게 되고, 이자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해당 방법을 피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차입하지 않고 회사에 돈을 추가로 넣을 수 있는 방법은 회사의 지분을 다른 사람에게 팔아서 융통하는 방법이 남습니다. 오늘은 회사가 추가적은 돈이 필요한데 차입하지 않고 자본금을 늘리는, 일명 '증자'를 통해 수혈하는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유상증자 유상증자는 말 그대로 자본금을 늘리는데 회사가 돈을 받고 늘리는 형태를 말합니다. 반대로 무상증자는 추가적은 돈을 받지 않고 잉여금에서 주식을 일부 발행하여 기존 주주에게 지분을 나눠주는 형태를 말합니다. 유상증자와 무상증.. 2023. 1. 27.
유형자산과 무형자산 회사의 재무상태표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유형자산과 무형자산입니다. 유형자산('fixed assets')은 눈에 보이는 자산으로 해당 자산을 사용할 수 있는 기한이 보통 1년 초과하는 자산을 말합니다. 예로는 건물, 기계장치, 차량운반구 등이 있습니다. 반대로 무형자산은 유형자산과 달리 눈에 보이지 않아 실체는 없지만, 회사는 해당 자산으로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무형자산도 1년 이상 사용 가능하며 특허권, 상표권, 저작권, 영업권 등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유형자산 유형자산은 회계처리에 있어서 회사가 자산을 취득하는 시점까지 발생하는 비용을 원가에 더해 장부에 기록하게 됩니다. 취득하는 시점에 발생하는 비용이라 하면 단순 장비를 구매하면서 지출하는 운송비, 보험료, 세.. 2023. 1. 27.
연결 회계, 지분법 오늘은 연결회계('acquisition method')와 지분법('equity method')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한국에도 꽤 오래전부터 기업인수합병 ('mergers and acquisition')이라는 단어는 쉽게 들을 수 있었습니다. 기업인수합병 관련된 드라마도 많았고, 소설 등도 많았었어요. 그만큼 자본시장, 특히 금융시장에서 M&A 종사자들을 멋지게 표현하는 것 같고, 약간 선망의 대상인 것처럼 만드는 것 같습니다. 연결회계와 지분법은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인수합병과 같은 사업결합을 회계처리 할 때 사용되는 두 가지 다른 회계처리방법을 말합니다. 연결회계는 인수기업이 피인수기업을 향한 지배력을 확보할 때 사용합니다. 하지만 지분법은 인수하고자 하는 회사가 유의적인 영향력을 피인수기업에게 행.. 2023. 1. 26.
재무제표,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재무제표 이번 포스팅에서는 회계적 관점에서 기업들이 어떤 서류들로 회사의 재무현황 등을 정보이용자에게 제공하는지 말씀드리겠습니다. 우선 기본적으로 재무현황을 볼 수 있는 자료는 크게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자본변동표, 주석으로 나뉩니다. 이 다섯 가지 표를 묶어 재무제표라고 말합니다. 재무제표는 정보이용자가 회사의 재무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쉽고, 정확한 서류들입니다. 각 지표들을 하나씩 나눠 설명하겠습니다. 재무상태표 우선 재무제표에서 가장 먼저 나오는 재무상태표는 특정 시점 회사의 재무상태, 다시 말해 회사의 자산과 부채, 그리고 자본의 상태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재무상태표의 왼쪽항목에는 회사의 자산이 기록되게 되고, 오른쪽에는 회사의 부채와 자본을 기록하게 됩니.. 2023. 1.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