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은 부채와 자본의 합
이번에는 회계의 기초 중 하나인 자산, 부채, 자본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우선 회계에서 자산은 부채와 자본의 합과 같아야 합니다. 철수와 영희가 각 각 1천만 원씩 모아 네모회사를 설립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네모회사의 자본금은 2천만 원으로 시작합니다. 그리고 이어서 은행에서 3천만 원을 대출받았습니다. 네모회사의 초기 자산은 총 5천만 원으로 시작을 합니다. 이 회사는 전국 다녀야 하는 회사이기에, 2천만 원으로 차량운반구를 하나 구입하고, 5백만 원으로 컴퓨터 2대와 기타 장비들을 구입합니다. 지금까지 구입한 것은 일시비용처리가 아닌 자산화를 해서 감가상각을 하면 됩니다. 현재까지 자산은 5천만 원 그대로입니다. 왜냐하면 2천5백만 원의 현금이 지출됐지만, 자산(차량운반구, 컴퓨터 등)이 동일하게 장부에 기록됐기 때문입니다. 만약 네모회사가 은행에서 1천만 원을 더 차입했다고 가정하면 재무상태표는 어떻게 변할까요? 이때는 부채가 늘면서 현금이 들어왔기 때문에, 총자산이 늘어나게 됩니다.
주식발행초과금
자산과 부채의 변화가 있는 것처럼 자본도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습니다. 철수와 영희가 영업을 잘해서 네모회사의 매출이 크게 늘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그랬더니 철수의 친구 민수가 본인도 회사에 조금 투자를 하고 싶다고 말합니다. 철수와 영희는 고민을 한 끝에 민수의 투자를 받아주기로 합니다. 다만, 초기에는 액면가로 주식을 발행했지만, 이번에는 회사가 초기보다 많이 성장한 만큼, 액면가보다 높은 가격에 발행하기로 걸정합니다. 철수와 영희는 액면가 5천 원 주식을 총 2 천주씩 보유하고 있지만, 민수를 위해서는 주당 발행가격을 1만 원으로 정하고, 총 1천 주를 추가 발행합니다. 이럴 경우, 회사로 추가 유입되는 현금은 1천만 원이고, 자본도 1천만 원이 증가하게 됩니다. 하지만 자본금은 액면가 5천 원*1천 주인 5천만 원이 되고, 나머지 5천만 원은 '주식발행초과금'이란 계정으로 재무제표에 기록하게 됩니다. 주식발행초과금은 회사가 액면가 이상으로 주식을 신규 투자자 또는 기존 투자자에게 발행하는 경우, 혹은 보유하는 주식을 매입하는 경우 발생합니다. 이 경우 기업이 영업활동을 하고 벌어들이는 이익이 아니기 때문에 이익잉여금과는 조금 차이가 있으며 자본의 거래에 따라 발생하기 때문에 '자본잉여금'입니다. 앞서 말한 '이익잉여금'은 회사가 영업을 통해 이익이 발생한 경우, 즉 회사의 손익계산서상 당기순이익이 양수인 경우 발생합니다. 회사가 주주에게 배당을 하는 경우 바로 이익잉여금에서 배당금 재원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네모회사가 2022년 당기순이익이 5천만 원 발생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매출은 총 2억 원이 발생했고, 매출원가는 1.2억 원이 발생했으며, 급여와 이자비용으로 3천만 원을 지출했습니다. 해당 계정과 숫자는 손익계산서상 기록되는 숫자입니다. 그리고 회사가 5천만 원의 이익을 발생시키는 동안 자산과 부채의 변화도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재고자산이 1억 원 감소했으며, 기존에 판매한 뒤 채권으로 보유한 1.8억 원이 회수되었습니다. 또한 급여와 이자지급으로 현금이 3천만 원 감소했습니다. 결국 자산, 부채, 자본의 변화를 보더라도, 자산이 5천만 원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회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가, 선입선출법, 평균법 (0) | 2023.02.02 |
---|---|
회계 정의, 회계 종류, 복식부기 (0) | 2023.02.02 |
포인트, 마일리지 회계 (0) | 2023.02.01 |
세일앤리스백, 매각 후 재임차 (0) | 2023.02.01 |
회계사의 진로 (0) | 2023.01.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