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원가흐름에 대해 말씀드려 보겠습니다. 가나다 회사에 아래의 표와 같이 매입거래가 있었으며, 2022년 판매량은 총 450개라고 가정하겠습니다.
날짜 | 매입수량 | 단가 | 매입액 |
기초수량 | 100 | @100 | 10,000원 |
3월 4일 | 100 | @110 | 11,000원 |
6월 10일 | 200 | @105 | 21,000원 |
8월 20일 | 200 | @120 | 24,000원 |
위의 표와 같이 가나다 회사의 총판매가능한 재고는 600개입니다. 그리고 2022년 한 해 동안 판매한 제품은 450개이므로, 기말시점 재고자산은 총 150개가 남아있습니다. 해당 내용을 표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재고의 수량은 장부에 기록되어 있는 숫자와 실제 창고에 가서 세봤을 때 맞은 경우 큰 문제는 없습니다. 하지만, 과연 현재 기말에 남아있는 150개 재고의 가격은 얼마로 기록해야 정확한 것일까요? 여기서부터 문제가 발생하는 겁니다. 만약 가나다 회사가 2022년 동안 매입한 재고의 단가가 기초수량과 같이 100원이었다면 문제가 없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기간에 따라 매입했던 단가가 차이가 있기 때문에 기말재고의 가격도 100원이 될 수 없습니다.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원가흐름의 가정이 정해져야 합니다. 다양한 방법으로 원가흐름의 가정을 정할 수 있지만, 가장 보편적인 방법들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원가흐름의 가정은 크게 선입선출법, 후입선출법, 가중평균법으로 나뉩니다.
1. 선입선출법(FIFO) : 가장 먼저 매입한 순서대로 팔린다고 가정합니다.
2. 후입선출법(LIFO) : 가장 나중에 매입한 순서대로 팔린다고 가정합니다.
3. 가중평균법 : 매입하는 순서와 상관없이 평균적으로 팔린다고 가정합니다.
먼저 선입선출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해당 방법에 따르면, 기초에 있던 100개의 재고를 포함하여 3월 4일, 6월 10일에 매입한 재고는 모두 팔리게 됩니다. 뿐만 아니라, 8월 20일에 매입한 200개 중 50개도 2022년 안에 팔린 것으로 간주됩니다. 따라서 현재 가나다 회사의 기말재고는 단가 120원짜리만 남아있게 되는 것입니다. 선입선출법을 적용하면 가나다 회사의 기말재고는 18,000원이 됩니다. (150개*120원)
후입선출법을 적용할 경우 선입선출법과 반대로 남아있는 재고자산의 가격 구성은 100원짜리 100개, 110원짜리 50개가 남아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15,500원이 기말재고에 기록됩니다.
이번에는 가중평균법으로 계산 시 어떻게 기말재고가 남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가중평균은 말 그대로 총 매입수량을 더해서 총 매입금액에 나눠주는 방법으로 단가를 구합니다. 위의 표에서 총 매입수량은 600개이며, 총매입액은 66,000원이 됩니다. 따라서 단가는 110원이 되게 됩니다. 이 경우 남아있는 재고자산의 가격은 16,500원입니다. (150개*110원)
그런데, 가중평균법을 사용할 때 위의 표에서는 중간에 판매가 이뤄지지 않았고, 8월 20일 이후 판매가 이뤄진 걸로 가정하였습니다. 하지만 판매가 만약 중간에 이뤄질 경우 평균가격은 변동될 수 있으므로 회사는 해당 가격을 계속적으로 계산해서 정할지 여부를 정해야 합니다. 이것이 바로 계속기록법의 원가흐름 가정입니다. 예를 들어 4월 5일 판매가 200개 이뤄졌고, 7월 1일 50개 판매가, 9월 1일 150개가 팔렸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처음 판매가 일어난 4월 5일의 경우 평균 매입액은 105원입니다. 그리고 이날을 이후로 남아있는 재고는 없어집니다. 그 뒤 6월 10일 단가 105원에 매입한 200개의 재고에서 50개가 팔렸으므로, 남아있는 재고의 단가는 105원이 유지됩니다. 8월 20일 추가로 200개를 110원에 매입했기 때문에 이날 이후 남아있는 재고의 수량은 300개, 총 매입가격은 39,750원입니다. 따라서 이때의 평균단가는 113.6원이 됩니다. 그리고 9월 1일 이후 남아있는 수량은 총 150개, 단가는 113.6원이므로 재무상태표 상 기말재고자산의 값은 17,035원이 됩니다. 다음에는 재고자산실사금액과 기말재고자산의 차이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회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채의 정의와 분류 최종 정리 (0) | 2023.02.06 |
---|---|
재고자산 실사금액과 기말재고자산의 차이 (0) | 2023.02.03 |
회계 정의, 회계 종류, 복식부기 (0) | 2023.02.02 |
자산, 부채, 자본, 주식발행초과금 (0) | 2023.02.02 |
포인트, 마일리지 회계 (0) | 2023.0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