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관련

주택건설 기준, 근린주구 이론, 레드번 계획

by 스마트200 2023. 2. 27.
반응형

건축물을 지으려면 건축법을 따라야 하는 것처럼, 주택을 신축하려면 주택법에 의거해서 허가를 받고 지어야 합니다. 주택법에는 크게 세대별 지켜야 할 규정들이 나와있습니다. 또한 세대수와 상관없이 공동주택이라면 지켜야 할 규정들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주택단지 내 입주민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계단의 폭은 최소 120센티미터 이상으로 해야 합니다. 또한, 공동주택이 7층 이상일 경우, 이삿짐 등을 운반할 수 있는 화물용 엘리베이터가 100세대 기준 1대씩 있어야 합니다. 화물용 엘리베이터라 하면, 최소 900kg의 하중을 견뎌야 하며, 폭과 너비는 각 각 최소 1.35미터 이상, 1.6미터 이상 되어야 합니다. 또한 세대수에 따라 최소한으로 지어야 하는 관리사무소의 면적도 규정되어 있습니다. 공동주택이 기간도로와 접하는 폭은 300세대 미만까지는 최소 6미터 이상 벌어져야 하며, 세대수에 따라 최대 20미터 이상의 간격을 둬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단지 내 도로의 경우 과속방지턱과 도로 노면의 요철포장 등을 활용하여 유효속도가 시속 20km/h에 맞춰지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주거단지의 보행자 동선의 경우, 가급적 최단거리로 하여 오르막 또는 내리막이 없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또한 단지 내 보행자 도로와 인접하여 커뮤니티 시설 및 공원, 놀이터 등 생활편의시설을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페리(C. A. Perry) 근린주구 이론

근린주구 이론은 미국의 사회학지이며 도시계획가인 클래런스 페리가 만든 이론으로, 도시계획 및 단지계획에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초등학교 및 어린이 공원등을 기준으로 인구와 면적 등을 산출하여 도시를 계획하는 이론입니다. '인보구'의 경우 가구 40호, 인구수 200명, 면적 6ha로 인근 공동세탁소, 유아놀이터 등이 위치한 형태입니다. 인보구보다 한 단계 더 넓은 단위는 '근린분구'로 인구는 가구수는 400호에서 500호 사이, 면적은 15~25ha로, 해당 단지 내 어린이공원, 공중목욕탕, 약국, 유치원 등이 위치한 형태입니다. 끝으로 근린주구는 인구 만 명을 수용하며, 가구수는 약 2천 가구, 면적은 100ha 지역 내 초등학교, 병원, 도서관, 우체국, 소방서 등이 위치한 형태입니다. 근린주구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규모가 일정 수준 이상이어야 합니다. 하나의 초등학교는 최소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인구수도 너무 적으면 안 됩니다. 또한 단지 내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근린생활시설이 한 개 내지 두 개 정도 있어야 하며, 학교나 공공건축용지가 근린주구 중앙에 위치해야 합니다.

근린주구
출처: 네이버 연린연단

레드번 계획

레드번 계획은 라이트(H. Wright)와 스타인(C. Stein)이 제시한 계획으로 약 12~20ha 면적에 대가구의 구성을 말합니다. 레드번 계획에서는 기능에 따라 도로를 네 가지로 구분 지으며, 보도와 차도의 입체적 분리를 지향합니다. 또한, 주택단지 어디로든 이동할 수 있는 공동사용의 오픈 공간을 조성합니다.

반응형

댓글